목차 일부
[한글] 목차
한국어판 발간에 부쳐 = 15
추천의 글 = 17
서문 완월동(玩月洞)의 유리창(파璃窓)
완월동이란 동네 = 18
녹색마을(미도리마찌)의 기생들 = 21
어둠의 딸들 = 25
제1장 기생의 역사 = 31
1. 기생과 기녀
『해어화(解語花)』의 역사 = 32
유녀기와 백대부 = 38
2. 왕과 귀족, 그리고 기생
고려여악(高...
목차 전체
[한글] 목차
한국어판 발간에 부쳐 = 15
추천의 글 = 17
서문 완월동(玩月洞)의 유리창(파璃窓)
완월동이란 동네 = 18
녹색마을(미도리마찌)의 기생들 = 21
어둠의 딸들 = 25
제1장 기생의 역사 = 31
1. 기생과 기녀
『해어화(解語花)』의 역사 = 32
유녀기와 백대부 = 38
2. 왕과 귀족, 그리고 기생
고려여악(高麗女樂) = 45
성종과 연산군시대 = 51
기생정치·기생외교 = 58
3. 조선해어화사(朝鮮解語花史)에 나타난 갈보의 종류
일패(一牌), 이패(二牌), 삼패(三牌) = 67
여사당 자탄가(女社堂自歎歌) = 71
제2장 기생열전 = 79
1. 시기(詩妓) 황진이
황진이의 시조 = 80
황진이의 한시 = 87
2. 시기(詩妓) 명기(名妓)들
기생들의 시 = 91
김삿갓과 기생들 = 99
3. 의기(義妓) 논개(論介)
기생과 왜장(倭將) = 104
왜장 게야무라 로쿠스케(毛谷村六助)의 혈통 = 110
제3장 상징화된 기생 = 115
1. 소설 속의 기생
성춘향 = 116
기생의 원씨명(源氏名) = 121
2. 야담 속의 기생
외담(猥談)·골계담(滑稽譚) = 125
명기(名妓) 가지(加地)와 남원의 기생 = 130
3. 회화 속의 기생
조선의 풍속화가 신윤복의 미인도(美人圖) = 136
『기산풍속도첩(箕山風俗圖帖)』과 그 외 = 142
춘화 속의 기생 = 147
제4장 기생의 생활과 사회 = 155
1. 하꾸우와 교시가 본 기생
'슬픈 나라'의 기생 = 156
다카하마 교시(高浜虛子)의 『조선』 = 161
노기(老妓) 소담(素淡)의 집 = 163
2. 『조선미인보감(朝鮮美人寶鑑)』
기생세견(妓生細見) = 168
이진봉(李眞鳳)과 이경란(李瓊蘭) = 172
3. 기생의 경제학
경성화류계(京城花柳界) = 177
화대라는 노임 = 180
경성기생 자산 순위 = 183
기생과 경찰 = 184
제5장 기생학교 = 189
1. 『기성(箕城)기생사진집』
「기생양성소 규정」 = 190
기생학교 시간표 = 196
기생학교를 방문하고 = 202
제6장 농염한 기생의 자태(艶姿妓生) - 식민지와 기생 문화 - = 213
1. 센류(川柳) 속의 기생
『조선센류(朝鮮三柳)』 = 214
한쪽 무릎을 세우고 앉는 기생 = 217
기생의 아버지는 지게꾼 = 222
하이쿠(俳句)와 단가(短歌) 속의 기생 = 227
2. 일본인이 쓴 기생 소설
『토끼와 기생과』 = 240
공감과 엇갈림 = 243
경성의 일본인 거리 - 신마찌(新町)의 조선인 유곽 = 245
나미키의 갈보집 = 248
3. 기생잔영(妓生殘影)
사라져 가는 기생 = 255
종주국 남성과 식민지 여성 = 259
'비애의 미'의 본질 = 261
제7장 기생의 도상학(圖像學) = 265
1. 그림엽서 제작소
다이쇼사진공예소(大正寫眞工藝所)와 히노데상행(日之出商行) = 266
2. 기생의 도상(圖像)을 읽다
머리모양과 의상 = 274
배경과 자세 = 276
자세, 표정, 구도의 의미 = 284
화보(그라비어)의 기생들 = 288
제8장 현대의 기생 = 297
1. 해방 후의 '기생'
「윤락행위방지법」 = 298
양공주와 기생 = 303
2. 현대의 '기생'
풍속산업의 종류 = 308
'특정지역' = 312
역자 후기 = 319
참고 문헌 = 323
도판 목록 = 338
서평 (0 건)
*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.
서평추가